안녕하세요 여러분 관심사입니다!!
오늘은 전세와 집을 구입하는 경우
상황별 옳은 선택을 소개해드리려합니다.
부동산 전문가들돈을 벌어들이는 방식은
주식 전문가들과 완전하게 일치합니다.
이런저런 분석법에 의거한 예측으로
강연 또는 컨설팅을 하거나
땅 또는 건물을 팔아서 돈을 챙기고 있는데요.
즉, 그들이 파는 것도 결국엔 예측입니다.
예측의 경우의 수는 3가지입니다.
① 오른다.
② 떨어진다.
③ 오늘과 비슷하다.
물론 3번째 경우의 수인
오늘과 비슷한 경우가 가장 확률이 높습니다.
그러나 시장에서 인기를 얻으려면
1번째 경우인 오른다 또는
2번째 경우인 떨어진다를 주장해야 합니다.
두 주장에서 사람들이 불안을 느끼기 때문인데요.
사람은 보통 2가지
필요조건에 따라서 뉴스를 찾게 됩니다.
첫 번째,
뉴스가 그 사람과 관련이 있어야 한다.
두 번째,
그 사람의 상황이 불확실해야 한다.
부동산(집)은 첫 번째의 요소를
기본으로 충족하고 있습니다.
그래서 언론은 흥행을 위해
두 번째 요소를 자극합니다.
하루는,
곧 오를 것을 주장하는 전문가를
초대해서 이야기를 들어보고,
또 다른 하루는,
곧 떨어질 것이라고 주장하는 전문가를
초대해서 이야기를 들어보는 것입니다.
그리고 또 어떤 날은 특집으로
두 전문가들을 한자리에 초대해서
난장토론을 벌이곤 합니다.
그러면서 사람들의 불안이 야기되는데요.
이것이 양극단의 주장을 펼치는 전문가들과
TV나 신문사들의 공생의 사이클입니다.
그렇다면 이제 전세와 집 구매 어떤 것이
더 효율적인지 상황별로 살펴보겠습니다.
주택 보유자와 비보유자의
'집 가격 예측'에 따른 행동 유형
주택 보유자
① 오른다 -> 매도 보류 ② 떨어진다 -> 매도 |
주택 보유자의 경우
오를 경우 매도를 보류해야 합니다.
그 이유는 더 오른 뒤에 팔아야 하기 때문인데요.
떨어지는 경우에는 차익실현 또는
손해를 줄이기 위해 매도를 해야합니다.
어찌보면 당연한 이야기입니다.
떨어지는 경우에도 오를 것을 기대하면서
기다리는 경우 더 큰 손해만 찾아올 수 있습니다.
다음은 주택 비보유자 경우입니다.
주택 비보유자
① 오른다 -> 매입 ② 떨어진다 -> 매입 보류 |
주택 비보유자(무주택자)들은
반대로 움직여야 하는데요.
오를 경우에는 더 오르기 전에 사야하고,
떨어지는 경우에는 더 떨어지고 난 뒤에
구입하면 되므로 기다리는 것이 좋습니다.
당연한 이야기이지만,
아무래도 집 구매하는 경우
큰 금액이기 필요하기 때문에
망설이고 위축되는 경우가 다반수입니다.
찾고있는 집이 마음에 들었는데 오르고 있다면,
다른 집을 찾아보는 것도 방법이지만,
더 오르기 전에 구매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.
주택 보유자와 비보유자의
'빚 규모'에 따른 행동 유형
집값의 차후 행방을 배제한 채로,
주택담보대출금 등의 빚 상환만을 놓고 따져보면,
갚을 수 있는 수준인지
판단하는 것은 쉬운 질문입니다.
종이에 쓰여있는 대차대조표와 현금흐름표의,
숫자만을 토대로 빚 상환이
가능한지 따져보면 되는데요.
만약 빚 상환이 가능하다면,
집을 그대로 보유하면 됩니다.
하지만 불가능하다면 집을 팔아서,
주택 비보유자로 넘어가서 생각해보아야 합니다.
이 정도의 행동지침은,
논리나 재테크가 아닌 상식 수준의 판단인데요.
사실 보유는 쉽지만 매도가 어렵습니다.
주택 비보유자의 경우에는,
무리하지 않는 한도에서 매매 또는 전세를
할 수 있는 경우 사실 무엇이든지 상관 없습니다.
하지만 빚을 많이 내야하는 경우에는
매입을 포기하고,
전세로 버티는 것이 최상의 방법입니다.
주택 보유자
① 빚 상환 가능한 경우 -> 매도 보류 ② 빚 상환 불가능한 경우 -> 매도 |
주택 비보유자
① 빚 적거나 없을 경우 -> 매입 및 전세 ② 빚 많은 경우 -> 전세 |
와인의 4가지 종류 ( 스틸 와인, 스파클링 와인, 알코올 강화 와인, 디저트 와인) (0) | 2020.03.29 |
---|---|
정동진 레일바이크 (전동바이크 타고 동해 구경하자!) (0) | 2020.03.29 |
다크서클의 종류 및 원인 및 없애는 법 (4) | 2020.02.01 |
어떤 이야기든 알기 쉽게 설명하는 공식 (8) | 2020.01.30 |
20은 80보다 크다 (6) | 2020.01.2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