안녕하세요~~ 여러분!! 관심사입니다!!
오늘은 현명하게 말할 수 있는 방법을 2가지 알려드리려고 합니다.
얼핏 보기에 중요해 보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.
하지만 대화를 통해서 서로의 생각을 판단하기 쉽기 때문에 상대방의 입장에서도 기분이 상하지 않게 말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야 합니다.
현명하게 말하는 방법
첫 번째
1인칭으로 말하기
조언 중에 '2인칭 문장'보다는 '1인칭 문장'을 사용하라는 것이 있습니다.
사람들에게 자신의 생각과 느낌, 의도 등을 말할 때는 조심해야 하는데요.
예를 들어,
"너는 고의로 이런 짓을 했어"
"너는 이 팀에서 내 평판에 손상을 주고 있어"
"너는 관심이 없어"
이러한 표현 대신
"네가 그런 행동을 했을 때, 나는 기분이 안 좋았어"
"네가 그런 행동을 했을 때, 나는 기분이 안 좋았어"
"네가 내 평판에 손상을 입혔다고 나는 느꼈어"
위와 같은 표현을 쓰도록 신경쓰면서 말해야 합니다.
두 번째
비폭력 대화로 말하기
비록력 대화는 마셔 로젠버그가 개발한 구조화된 말하기 방식입니다.
비폭력적인 의사소통의 복잡성은 살펴봐야 할 만한 가치가 있지만, 본질은 간단합니다.
"X가 일어났을 때 내가 Y라고 느낀 이유는 Z가 내게 필요하기 때문이야."
첫 번째 부분인 X는 중립적인 관찰자가 본 것처럼 최대한 사실적으로 묘사해야 합니다.
예를 들어,
"당신 보고서가 미비한다면..."
"저녁 식사 시간보다 한 시간 반 늦게 집에 오면..."
"내가 말할 때 나를 보지 않으면..."
하지만 이렇게 말을 해서는 안됩니다.
"당신이 업무상 실수를 한다면..."
"가족을 돌보지 않는다면..."
"정신이 딴 데 가 있다면..."
두 번째 부분 Y는 경험, 특히 의견이나 판단, 문제 해결이 아닌 감정과 느낌, 욕망에 관한 것입니다.
바로 위에 있는 X의 사례를 확장한다면 이렇게 말할 수 있습니다.
"이 프로젝트 때문에 걱정이야"
"당신이 약속을 지킬지 몰라서 화가 나고 답답해"
또, 이렇게 말하지 않아야 합니다.
"당신은 게으르고 믿음직스럽지 않아"
"남의 말을 잘 들어주지 못하네"
세 번째 부분 Z는 여러분이 느끼는 것의 기초가 되는 보편적이고, 이해할 만한 인간의 욕구를 밝히는 것입니다.
X와 Y의 예를 기억하면서, 밑의 말처럼 말할 수 있습니다.
"나는 함께 일하는 사람들이 신뢰감을 주었으면 좋겠어"
"우리 아이들은 당신이 자신들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사실을 알 필요가 있어"
"나는 내가 남을 위해 존재한다고 느끼고 싶어"
제가 드리고 싶은 말은
훌륭한 대화가 모두 정확히 비폭력 대화의 형태를 따르는 것은 아닙니다.
하지만,
누군가와 이야기할 때 분위기가 격해지거나, 주제를 벗어난다면 이 대화를 이용하라는 얘기입니다.
그러게 되면 대개 상황이 좋아지게 되어있습니다.
내 삶에서 우연이 얼마나 지배할까? (5) | 2020.01.12 |
---|---|
동기부여. 우리가 인생을 살아가면서 필요한 것 (0) | 2020.01.11 |
내가 좋은 사람이라는 것 깨닫기. (1) | 2020.01.11 |
비트코인은 합법??? (4) | 2020.01.10 |
띄어쓰기 총정리!! 예문으로 쉽게 100% 이해하기. (2) | 2020.01.06 |